UXUI
-
게슈탈트 원칙UXUI 2025. 8. 28. 18:30
게슈탈트 원칙이란?게슈탈트 원칙 - 사용자가 시각 요소를 지각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패턴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에서 유사한 요소를 그룹화하고, 시각적 패턴을 통해 의미를 구조화하며,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하여 이해합니다.게슈탈트 원칙을 통해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구성하면, 미적 완성도와 사용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습니다. 배경게슈탈트는 독일어로 '통합된 전체(Unified Whole)'를 뜻하며, 이는 UI/UX 디자인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부분이 아니라, 전체적인 패턴으로 인식한다는 개념의 출발점입니다.1920년대에 독일 심리학자 3명이 이러한 인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게슈탈트 원칙을 체계화했습니다. 이들은 인간이 혼란스럽거나 단편적인 시각·청각 정보를 접할 때, '무질서 속에서 질서를..
-
도움 콘텐츠와 문서(Help and Documentation)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8. 19. 22:03
10번째 사용성 휴리스틱은 다음과 같습니다:시스템을 문서 없이 사용할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필요한 경우 도움 콘텐츠와 문서를 제공해야 합니다. 제공되는 정보는:쉽게 검색할 수 있어야 하고사용자 태스크에 초점을 맞추며실행 순서를 구체적이면서 명확하게 제시하고너무 길거나 복잡하지 않아야 합니다.웹과 앱에서 제공되는 도움 콘텐츠는 크게 ‘사전적 도움’과 ‘사후적 도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전적 도움은 사용자가 문제를 겪기 전에 제공되어 오류나 혼란을 예방하는 성격을 가지며, 대표적으로 온보딩 튜토리얼이나 컨텍스트 기반 팁이 해당됩니다.사후적 도움은 사용자가 문제를 경험한 뒤 해결책을 찾기 위해 접근하는 자료로, 문서, 동영상 가이드, 기능별 튜토리얼 등이 포함됩니다. 사전적 도움사전적 도움은 사용자가..
-
에러 메시지 가이드라인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8. 13. 21:05
“사용자가 오류를 인식하고, 원인을 진단하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좋은 UX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오류 메시지는 단순한 알림이 아니라, 시스템이 예상치 못한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작업 흐름을 안전하게 이어가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품의 품질이 우수해도 오류 메시지 설계가 미흡한 경우가 많습니다.이는 많은 팀이 정상적인 사용자 경로 설계에 집중하느라 예외 상황이나 오류 처리 설계를 후순위로 미루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시성 가이드라인오류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어야 하며, 한눈에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오류가 발생한 요소 바로 옆에 표시하면 사용자의 인지 부담이 줄어들고, 어떤 부..
-
미적 요소 및 미니멀리즘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8. 6. 20:44
작가 윌리엄 모리스의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실용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거나, 아름답다고 느끼지 않는 것은 집에 두지 마세요.”이 한 문장은 이 글의 핵심을 보여줍니다. 인터페이스에는 불필요하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 정보가 포함되어선 안 됩니다.불필요한 요소가 많아질수록, 중요한 정보와 핵심 콘텐츠의 가시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니멀리즘의 한계와 디자인에서 미적 요소의 중요성비주얼 요소는 좋은 첫인상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사람들은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않는다"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한 후 단 50ms 만에 디자인을 보고 첫인상을 형성합니다. 이는 텍스트를 읽고 판단하는 속도보다 10배나 빠른 수치입니다.결국, 기능이나 콘텐츠가 아무리 뛰어나도 시각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으..
-
Design SprintUXUI/Design Thinking 2025. 8. 4. 22:01
디자인 스프린트란?기업들은 한정된 리소스로 성공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대규모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를 꺼립니다.이에 구글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디자인 스프린트' 방법론을 개발했습니다. '디자인 스프린트'는 단 5일 동안 중요한 비즈니스 과제에 대한 핵심 인사이트를 얻는데 집중합니다.이 과정은 Design Thinking에 기반하여, 빠른 디자인과 프로토타입 제작, 그리고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디자인 스프린트 5단계 프로세스전체 과정은 이해(Understand), 스케치(Sketch), 결정(Decide), 프로토타입(Prototype), 검증(Validate)의 5단계로 구성됩니다. 각 단계는 하루(약 8시간) 동안 진행되어 전체 프..
-
Design Thinking과 AgileUXUI/Design Thinking 2025. 8. 3. 17:55
Design Thinking과 Agile 방법론은 많은 팀이 프로젝트 관리와 제품·소프트웨어 개발에 함께 적용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입니다.각기 다른 철학과 절차를 갖고 있지만, 사용자 중심과 반복적 개선 등 공통된 핵심 가치를 공유합니다. Design Thinking과 Agile 공통점1. 반복적 프로세스Design Thinking과 Agile 모두 반복적 개발(iterative development)을 강조합니다.Design Thinking은 고정된 순서 없이 상황에 따라 단계들을 자유롭게 오가며 문제를 탐색하고, 프로토타입 테스트 결과에 따라 문제 정의를 수정합니다. Agile은 짧은 스프린트를 반복하며 제품을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2. 사용자 중심두 방법론 모두 최종 사용자 요구에 집..
-
유연성 및 사용 효율성(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8. 2. 17:57
초보자와 전문가의 서로 다른 니즈 고려초보자는 시스템 사용 경험이 부족하여 명확한 안내와 직관적인 UI 요소가 필요합니다.이들은 온보딩 프로세스와 점진적 노출을 통한 단계별 안내로 시스템을 학습합니다. 반면 전문가는 키보드 단축키, 터치 제스처, 매크로 등 다양한 액셀러레이터를 활용해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며 업무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전문가도 필요에 따라 세밀한 작업 방식을 사용하지만, 주로 더 빠른 방법을 선호합니다. 시스템이 초보자 중심으로 지나치게 설계되어 불필요한 단계별 안내나 클릭을 요구하면 작업 속도가 저하되고 UX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반대로 전문가 중심으로 효율성만 강조하면 가파른 러닝 커브로 시스템 습득이 어려워집니다. 키보드 단축키나 제스처는 메뉴 탐색보다 빠르지만, 이에만 의존하면 G..
-
UI에서의 기억 인식 및 회상(Memory Recognition and Recall in User Interfaces)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7. 29. 17:10
10가지 Usability heuristics 중 여섯 번째는 UI 디자인에서 기억하기(recall) 보다 인식하기(recognition)를 우선시할 것을 권장합니다.기억하기와 인식하기가 각각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인식하기가 더 효과적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억 검색의 두 가지 방식: 인식(Recognition)과 회상(Recall)심리학에서는 기억을 떠올리는 방식을 크게 인식과 회상,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길거리에서 누군가를 만났을 때를 생각해보세요. 그 사람이 낯익다는 것을 알아채는 것은 쉽지만, 이름을 기억해 내는 것은 훨씬 어렵습니다. 이때 낯익음을 느끼는 것은 '인식'이고, 이름을 떠올리려는 노력은 '회상'입니다.인식: 이전에 경험한 정보나 사건이 익숙하다고 느껴지는 것회상: 기억에서 관련 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