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
Design SprintUXUI/Design Thinking 2025. 8. 4. 22:01
디자인 스프린트란?기업들은 한정된 리소스로 성공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대규모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를 꺼립니다.이에 구글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디자인 스프린트' 방법론을 개발했습니다. '디자인 스프린트'는 단 5일 동안 중요한 비즈니스 과제에 대한 핵심 인사이트를 얻는데 집중합니다.이 과정은 Design Thinking에 기반하여, 빠른 디자인과 프로토타입 제작, 그리고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디자인 스프린트 5단계 프로세스전체 과정은 이해(Understand), 스케치(Sketch), 결정(Decide), 프로토타입(Prototype), 검증(Validate)의 5단계로 구성됩니다. 각 단계는 하루(약 8시간) 동안 진행되어 전체 프..
-
Design Thinking과 AgileUXUI/Design Thinking 2025. 8. 3. 17:55
Design Thinking과 Agile 방법론은 많은 팀이 프로젝트 관리와 제품·소프트웨어 개발에 함께 적용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입니다.각기 다른 철학과 절차를 갖고 있지만, 사용자 중심과 반복적 개선 등 공통된 핵심 가치를 공유합니다. Design Thinking과 Agile 공통점1. 반복적 프로세스Design Thinking과 Agile 모두 반복적 개발(iterative development)을 강조합니다.Design Thinking은 고정된 순서 없이 상황에 따라 단계들을 자유롭게 오가며 문제를 탐색하고, 프로토타입 테스트 결과에 따라 문제 정의를 수정합니다. Agile은 짧은 스프린트를 반복하며 제품을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2. 사용자 중심두 방법론 모두 최종 사용자 요구에 집..
-
유연성 및 사용 효율성(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8. 2. 17:57
초보자와 전문가의 서로 다른 니즈 고려초보자는 시스템 사용 경험이 부족하여 명확한 안내와 직관적인 UI 요소가 필요합니다.이들은 온보딩 프로세스와 점진적 노출을 통한 단계별 안내로 시스템을 학습합니다. 반면 전문가는 키보드 단축키, 터치 제스처, 매크로 등 다양한 액셀러레이터를 활용해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며 업무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전문가도 필요에 따라 세밀한 작업 방식을 사용하지만, 주로 더 빠른 방법을 선호합니다. 시스템이 초보자 중심으로 지나치게 설계되어 불필요한 단계별 안내나 클릭을 요구하면 작업 속도가 저하되고 UX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반대로 전문가 중심으로 효율성만 강조하면 가파른 러닝 커브로 시스템 습득이 어려워집니다. 키보드 단축키나 제스처는 메뉴 탐색보다 빠르지만, 이에만 의존하면 G..
-
UI에서의 기억 인식 및 회상(Memory Recognition and Recall in User Interfaces)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7. 29. 17:10
10가지 Usability heuristics 중 여섯 번째는 UI 디자인에서 기억하기(recall) 보다 인식하기(recognition)를 우선시할 것을 권장합니다.기억하기와 인식하기가 각각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인식하기가 더 효과적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억 검색의 두 가지 방식: 인식(Recognition)과 회상(Recall)심리학에서는 기억을 떠올리는 방식을 크게 인식과 회상,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길거리에서 누군가를 만났을 때를 생각해보세요. 그 사람이 낯익다는 것을 알아채는 것은 쉽지만, 이름을 기억해 내는 것은 훨씬 어렵습니다. 이때 낯익음을 느끼는 것은 '인식'이고, 이름을 떠올리려는 노력은 '회상'입니다.인식: 이전에 경험한 정보나 사건이 익숙하다고 느껴지는 것회상: 기억에서 관련 세부 ..
-
사용자 오류 방지 (Preventing User Errors)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7. 18. 17:11
사용자에게 발생한 오류를 깔끔하고 명확하게, 그리고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가장 이상적인 접근법은 애초에 사용자가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오류를 논할 때 핵심은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가’입니다.‘사용자 오류’라는 표현은 사용자가 잘못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지만, 실제로 문제는 디자인이 오류를 쉽게 발생시키도록 만든 데 있습니다. 따라서 오류 발생 시 사용자를 비난하거나, 더 노력하라고 요구하거나, 추가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좋은 해결책이 아닙니다.올바른 해결책은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재설계하는 데 있습니다. 사용자 오류의 두 가지 유형오류를 예방하기 전에, 사용자가 범하는 오류는 크게 2가지 유형이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
Design Thinking - FrameworkUXUI/Design Thinking 2025. 7. 17. 20:38
Design Thinking에는 정해진 정의나 고정된 프로세스가 없습니다. 앞서 소개한 5단계 모델은 수많은 프레임워크 중 하나일 뿐입니다.혁신은 선형적인 과정이나 명확한 공식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전 세계의 디자인 리더들과 컨설턴트들은 추상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각기 다르게 해석하며, 이에 맞춰 다양한 Design Thinking 프레임워크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AIGA - Head, Heart, HandAIGA가 제시한 Head, Heart, Hand 모델은 디자인을 지적, 감정, 실천의 세 축으로 바라보는 통합적 접근법입니다.‘Head’는 디자인의 인지적 요소로, 전략적 사고, 문제 정의 및 분석, 사용자 리서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이 명확한 목표와 논리..
-
일관성 유지 및 표준 준수 (Maintain Consistency and Adhere to Standards)UXUI/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2025. 7. 16. 18:51
Jakob Nielsen이 제시한 10가지 Heuristic 중 4번째인 '일관성과 표준(Consistency and standards)'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앱을 만드는 것이 핵심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파란색 밑줄이 있는 텍스트는 링크를 의미하고, 장바구니 아이콘은 구매할 상품을 보여주며, 사이트 로고는 항상 왼쪽 상단에 위치하고, 돋보기 아이콘은 검색 기능을 의미하는 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살펴보면 이 원칙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컨벤션 덕분에 사용자는 별다른 학습 없이도 자연스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관성과 표준'을 강조한다고 해서 모든 인터페이스를 똑같이 만들라는 의미는 아닙니다.다만 웹사이트와 앱이 공통된 패턴을 적절히 차용하면, 사용자..
-
Design Thinking 구성UXUI/Design Thinking 2025. 7. 15. 19:59
Design Thinking이 뭐임?Design thinking은:팀이 사용자 관점에서 문제를 파악하고,기존 관점을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본 뒤,문제를 재정의하고,혁신적인 해결책을 만들어 프로토타입과 테스트를 진행하는비선형적이고 반복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명확하지 않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효과적이며, 다섯 단계로 구성됩니다.공감(Empathize)정의(Define)아이디어 도출(Ideate)프로토타입(Prototype)테스트(Test)Design Thinking이 중요한 이유Design Thinking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함..